[2/28 국내] 미국 증시 부진에 코스피 하락
- 작성일 : 2025-02-28 15:46:36
- 조회수 : 1040
미국 증시 부진에 코스피 하락
한 주간 코스피는 하락세를 보였다.
KOSPI는 미국 증시 부진에 영향을 받으며 하락하였다. 미국 기술주 부진이 이어지며 삼성전자 등 반도체 관련주가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한국은행이 25bp 금리 인하를 단행했으며, 트럼프의 관세에 대한 시장의 우려는 지속되었다.
KOSDAQ은 2차전지 및 우크라이나 재건 주 중심으로 소폭 상승하였다.
해당 기간 코스피 지수는 -1.22%의 하락세를, 코스닥 지수는 0.34%의 상승세를 보였다. 업종별로는 전기 가스업(5.33%), 운수 창고업(4.23%), 유통업(0.88%)이 강세를 보였고 보험업(-3.73%), 기계업(-3.97%), 의료 정밀업(-4.80%)은 약세를 보였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www.Funddoctor.co.kr)이 2월 28일 오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내 주식형 펀드는 한 주간 -0.71% 하락했다.

한 주간 주식형 펀드의 일반주식형 펀드는 -1.15%, 중소형주식형 -0.38%, 배당주식형 펀드는 -0.64%, K200인덱스 펀드는 -1.15%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 국내 주식형 펀드 주간 성과 상위 TOP5 펀드명 순자산액 소유형 수익률 1주일 1개월 연초후 신한SOL전고체배터리&실리콘음극재상장지수[주식] 180 기타인덱스 8.38 24.94 0.00 한국투자ACE포스코그룹포커스상장지수(주식) 446 기타인덱스 7.86 15.38 18.99 미래에셋TIGER코스닥150바이오테크상장지수(주식) 243 기타인덱스 5.79 8.54 15.06 미래에셋TIGER2차전지TOP10레버리지상장지수(주식-파생) 839 기타인덱스 4.36 10.40 12.70 KBRISE바이오TOP10액티브상장지수(주식) 124 기타인덱스 4.28 6.88 10.59](http://img.funddoctor.co.kr/contents/img_manager/etc_10501_국내2.PNG)
한국은행 금리 인하에 국내 채권금리 하락
한 주간 국내 채권금리는 하락세를 보였다.
국내 채권금리는 한국은행 금통위에서 기준 금리를 25bp 인하한 가운데, 금통위가 예상보다 비둘기적이었다는 평가와 함께 하락하였다. 금리 추가 인하 시기에 있어서는 신중한 태도를 보였으나, 성장률 전망치를 1.5%로 제시하면서 예측치보다 더 낮은 수준으로 제시하였고, 근원 물가 전망치도 하향 조정하며 비둘기적인 성향도 유지하였다.
만기별 금리를 살펴보면 국고채 1년물 금리는 지난주보다 2.80bp 하락한 2.613%, 3년물 금리는 2.30bp 하락한 2.592%, 5년물 금리는 5.00bp 하락한 2.680%, 10년물 금리는 10.20bp 하락한 2.750%로 마감했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www.Funddoctor.co.kr)이 2월 28일 오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내 채권형 펀드는 한 주간 0.27% 수익률을 기록하였다.

한 주간 채권형 펀드의 일반채권 펀드는 0.40%, 초단기채권 펀드는 0.07%, 중기채권 펀드는 0.61%, 우량채권 펀드는 1.02%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 국내 채권형 펀드 주간 성과 상위 TOP5 펀드명 순자산액 소유형 수익률 1주일 1개월 연초후 KBRISE국채30년레버리지KAP상장지수(채권-파생)(합성) 132 일반채권 4.21 6.47 9.09 미래에셋TIGER국고채30년스트립액티브상장지수(채권) 1,613 일반채권 3.10 5.09 6.77 삼성액티브채권[채권-파생]_Cf 4,187 일반채권 2.74 3.87 6.30 KBRISEKIS국고채30년Enhanced상장지수(채권) 4,144 우량채권 2.71 4.28 6.01 신한베스트장기채[채권-파생](종류C-i) 6,225 일반채권 2.48 3.82 6.09](http://img.funddoctor.co.kr/contents/img_manager/etc_10503_국내4.PNG)
■ 국내 자금 동향
2월 28일 현재 KG제로인 유형별 펀드자금 동향을 조사한 결과, 국내공모 펀드 설정액은 한 주간 4조 756억원 감소한 311조 4,500억원으로 나타났다. 순자산액은 4조 3,982억원 감소한 336조 6,869억원을 기록했다.
주식형펀드의 설정액은 7억원 증가한 17조 8,323억원으로 집계되었고, 순자산액은 2,226억원 감소한 21조 3,632억원으로 나타났다. 채권형 펀드의 설정액은 5,019억원 증가한 38조 241억원으로 집계되었고, 순자산액은 5,820억원 증가한 39조 9,245억원으로 나타났다.
부동산형 펀드의 설정액은 9억원 증가한 8,757억원으로 집계되었고, MMF 펀드의 설정액은 4조 3,619억원 감소한 153조 3,688억원으로 집계됐다.
한 주간 코스피는 하락세를 보였다.
KOSPI는 미국 증시 부진에 영향을 받으며 하락하였다. 미국 기술주 부진이 이어지며 삼성전자 등 반도체 관련주가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한국은행이 25bp 금리 인하를 단행했으며, 트럼프의 관세에 대한 시장의 우려는 지속되었다.
KOSDAQ은 2차전지 및 우크라이나 재건 주 중심으로 소폭 상승하였다.
해당 기간 코스피 지수는 -1.22%의 하락세를, 코스닥 지수는 0.34%의 상승세를 보였다. 업종별로는 전기 가스업(5.33%), 운수 창고업(4.23%), 유통업(0.88%)이 강세를 보였고 보험업(-3.73%), 기계업(-3.97%), 의료 정밀업(-4.80%)은 약세를 보였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www.Funddoctor.co.kr)이 2월 28일 오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내 주식형 펀드는 한 주간 -0.71% 하락했다.
한 주간 주식형 펀드의 일반주식형 펀드는 -1.15%, 중소형주식형 -0.38%, 배당주식형 펀드는 -0.64%, K200인덱스 펀드는 -1.15%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한국은행 금리 인하에 국내 채권금리 하락
한 주간 국내 채권금리는 하락세를 보였다.
국내 채권금리는 한국은행 금통위에서 기준 금리를 25bp 인하한 가운데, 금통위가 예상보다 비둘기적이었다는 평가와 함께 하락하였다. 금리 추가 인하 시기에 있어서는 신중한 태도를 보였으나, 성장률 전망치를 1.5%로 제시하면서 예측치보다 더 낮은 수준으로 제시하였고, 근원 물가 전망치도 하향 조정하며 비둘기적인 성향도 유지하였다.
만기별 금리를 살펴보면 국고채 1년물 금리는 지난주보다 2.80bp 하락한 2.613%, 3년물 금리는 2.30bp 하락한 2.592%, 5년물 금리는 5.00bp 하락한 2.680%, 10년물 금리는 10.20bp 하락한 2.750%로 마감했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www.Funddoctor.co.kr)이 2월 28일 오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내 채권형 펀드는 한 주간 0.27% 수익률을 기록하였다.
한 주간 채권형 펀드의 일반채권 펀드는 0.40%, 초단기채권 펀드는 0.07%, 중기채권 펀드는 0.61%, 우량채권 펀드는 1.02%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 국내 자금 동향
2월 28일 현재 KG제로인 유형별 펀드자금 동향을 조사한 결과, 국내공모 펀드 설정액은 한 주간 4조 756억원 감소한 311조 4,500억원으로 나타났다. 순자산액은 4조 3,982억원 감소한 336조 6,869억원을 기록했다.
주식형펀드의 설정액은 7억원 증가한 17조 8,323억원으로 집계되었고, 순자산액은 2,226억원 감소한 21조 3,632억원으로 나타났다. 채권형 펀드의 설정액은 5,019억원 증가한 38조 241억원으로 집계되었고, 순자산액은 5,820억원 증가한 39조 9,245억원으로 나타났다.
부동산형 펀드의 설정액은 9억원 증가한 8,757억원으로 집계되었고, MMF 펀드의 설정액은 4조 3,619억원 감소한 153조 3,688억원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