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d Doctor

menu

[2/21 국내] 상호관세 우려 완화되며 한국증시 상승

상호관세 우려 완화되며 한국증시 상승

한 주간 한국증시는 상승세를 보였다.
KOSPI는 상호관세 우려가 완화되며 상승하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를 4월 2일에 시행할 것이라 밝혔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강세를 보인 가운데 K칩스법의 국회 기재위 통과와 메모리 반도체 업황 개선 전망에 삼성전자와 하이닉스가 상승하였다.
KOSDAQ은 산자부 로봇 얼라이언스 소식에 로봇주가 강세를 보였다.

해당 기간 코스피 지수는 2.74%의 상승세를, 코스닥 지수는 2.53%의 상승세를 보였다. 업종별로는 철강 금속업(7.07%), 보험업(6.57%), 전기 가스업(6.30%)이 강세를 보였고 비금속 광물제품업(-0.52%), 의약품업(-1.17%)은 약세를 보였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www.Funddoctor.co.kr)이 2월 21일 오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내 주식형 펀드는 한 주간 3.25% 상승했다.


■ 국내 유형별 평균 수익률 및 순자산액 대유형	소유형	 펀드수 	순자산액		수익률			 					1주일	1개월	1년	연초후 주식형		 3,738 	684,166		3.25 	5.71 	-1.70 	12.39  	일반주식	 1,882 	104,641		2.44 	5.93 	3.89 	11.69  	중소형주식	 361 	10,288		1.12 	5.87 	5.79 	11.26  	배당주식	 293 	30,131		2.85 	4.50 	-0.80 	6.92  	K200인덱스	 379 	187,597		3.30 	5.46 	0.73 	10.77  주식혼합형	일반주식혼합	 311 	25,116		1.39 	3.79 	4.08 	7.34  채권혼합형	일반채권혼합	 1,023 	74,755		0.93 	1.62 	5.02 	3.25  절대수익추구형	채권알파	 413 	15,561		0.10 	0.32 	3.77 	0.71  	시장중립	 100 	1,798		0.15 	1.49 	5.08 	2.24  	공모주하이일드	 204 	17,416		0.09 	0.43 	5.17 	0.85

한 주간 주식형 펀드의 일반주식형 펀드는 2.44%, 중소형주식형 1.12%, 배당주식형 펀드는 2.85%, K200인덱스 펀드는 3.30%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 국내 주식형 펀드 주간 성과 상위 TOP5 펀드명	순자산액	소유형	수익률		 			1주일	1개월	연초후 삼성KODEX2차전지산업레버리지상장지수[주식-파생]	 2,226 	기타인덱스	13.68 	-4.76 	16.47  한화PLUS글로벌방산상장지수(주식)	 148 	기타인덱스	11.08 	10.63 	12.77  미래에셋TIGER2차전지TOP10레버리지상장지수(주식-파생)	 804 	기타인덱스	10.13 	-5.08 	7.99  KBRISEFn수소경제테마상장지수(주식)	 2,379 	기타인덱스	9.89 	17.62 	29.63  미래에셋TIGER우주방산상장지수(주식)	 548 	기타인덱스	9.63 	40.96 	46.79


호주 중앙은행 기준 금리 인하에 우리 국채 금리 상승

한 주간 국내 채권금리는 상승세를 보였다.
국내 채권금리는 상승하였다. 호주 중앙은행이 기준 금리를 4년 여만에 인하하였는데, 추가 인하를 보장할 수 없다고 발언한 것에 영향을 받아 호주 국채 금리는 상승하였다. 우리 국채 금리도 이에 영향을 받아 상승하였다. 이창용 총재는 우리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변수를 보고 판단하겠다는 신중한 입장을 내놓았다.    

만기별 금리를 살펴보면 국고채 1년물 금리는 지난주보다 0.90bp 하락한 2.642%, 3년물 금리는 1.90bp 상승한 2.627%, 5년물 금리는 4.00bp 상승한 2.748%, 10년물 금리는 3.90bp 상승한 2.885%로 마감했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www.Funddoctor.co.kr)이 2월 21일 오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내 채권형 펀드는 한 주간 0.08% 수익률을 기록하였다.


■ 국내 채권형 유형 평균 수익률 및 순자산액 대유형	소유형	 펀드수 	순자산액	수익률			 				1주일	1개월	1년	연초후 채권형		 1,233 	915,343	0.08 	0.27 	5.10 	0.72  	일반채권	 519 	235,621	0.10 	0.29 	6.41 	0.98  	초단기채권	 329 	523,425	0.06 	0.27 	3.67 	0.48  	중기채권	 171 	110,698	0.09 	0.23 	7.52 	1.07  	우량채권	 214 	45,600	0.13 	0.21 	8.96 	1.29  KAP채권지수(1년종합)				0.06 	0.26 	3.82 	0.53  MMF	MMF	 331 	1,599,005	0.06 	0.27 	3.51 	0.44

한 주간 채권형 펀드의 일반채권 펀드는 0.10%, 초단기채권 펀드는 0.06%, 중기채권 펀드는 0.09%, 우량채권 펀드는 0.13%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 국내 채권형 펀드 주간 성과 상위 TOP5 펀드명	순자산액	소유형	수익률		 			1주일	1개월	연초후 KBRISE국채30년레버리지KAP상장지수(채권-파생)(합성)	 127 	일반채권	1.07 	0.18 	4.68  미래에셋TIGER국고채30년스트립액티브상장지수(채권)	 1,553 	일반채권	0.85 	0.37 	3.57  KBRISEKIS국고채30년Enhanced상장지수(채권)	 3,848 	우량채권	0.70 	0.20 	3.21  신한SOL국고채30년액티브상장지수[채권]	 113 	우량채권	0.53 	0.29 	2.64  한화PLUS국고채30년액티브상장지수(채권)	 209 	일반채권	0.52 	0.23 	2.64

■ 국내 자금 동향

2월 21일 현재 KG제로인 유형별 펀드자금 동향을 조사한 결과, 국내공모 펀드 설정액은 한 주간 1조 4,211억원 상승한 315조 4,479억원으로 나타났다. 순자산액은 3조 7,320억원 증가한 338조 71억원을 기록했다.

주식형펀드의 설정액은 1,429억원 감소한 17조 8,316억원으로 집계되었고, 순자산액은 4,085억원 증가한 21조 5,858억원으로 나타났다. 채권형 펀드의 설정액은 7,652억원 증가한 37조 5,222억원으로 집계되었고, 순자산액은 8,294억원 증가한 39조 3,425억원으로 나타났다.

부동산형 펀드의 설정액은 2억원 감소한 8,748억원으로 집계되었고, MMF 펀드의 설정액은 7,950억원 증가한 157조 7,307억원으로 집계됐다.


■ 국내 공모 펀드 유형별 자금 추이 펀드유형	펀드수	설정액			순자산액		 		'25.02.14	'25.02.21	증감	'25.02.14	'25.02.21	증감 주식형	3,458 	179,746 	178,316 	-1,429 	211,773 	215,858 	4,085      주식형 ETF	371 	370,508 	369,548 	-960 	458,274 	472,068 	13,794  주식혼합형	449 	26,599 	26,492 	-107 	29,236 	29,478 	242  채권혼합형	1,286 	64,956 	64,669 	-287 	71,621 	71,886 	265  채권형	1,165 	367,570 	375,222 	7,652 	385,132 	393,425 	8,294      채권형 ETF	94 	490,745 	492,118 	1,373 	530,441 	532,337 	1,896  절대수익추구형	735 	31,794 	31,192 	-602 	36,682 	35,965 	-717  부동산형	58 	8,750 	8,748 	-2 	4,139 	4,167 	28  MMF	337 	1,569,357 	1,577,307 	7,950 	1,590,595 	1,599,714 	9,119  기타	168 	30,243 	30,867 	623 	24,859 	25,174 	315  국내 소계	8,121 	3,140,268 	3,154,479 	14,211 	3,342,752 	3,380,071 	37,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