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4 국내] 조선주 강세 보이며 코스피 상승
- 작성일 : 2025-02-14 16:07:52
- 조회수 : 433
조선주 강세 보이며 코스피 상승
한 주간 코스피는 상승세를 보였다.
KOSPI는 조선 및 제약과 바이오 업종을 중심으로 상승하였다. 한화오션은 정부의 조선 산업 지원 소식에 강세를 보였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실적 호조 및 한화오션 지분 취득 결정의 영향으로 강세를 보였다.
KOSDAQ은 삼성전자의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에 유리기판 관련주의 강세가 이어지며 상승하였다.
해당 기간 코스피 지수는 1.83%의 상승세를, 코스닥 지수는 1.21%의 상승세를 보였다. 업종별로는 운수 장비업(7.19%), 건설업(4.42%), 제조업(3.51%)이 강세를 보였고 음식료품업(-2.38%), 보험업(-3.35%), 전기 가스업(-3.70%)업은 약세를 보였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www.Funddoctor.co.kr)이 2월 14일 오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내 주식형 펀드는 한 주간 1.73% 상승했다.

한 주간 주식형 펀드의 일반주식형 펀드는 2.02%, 중소형주식형 1.33%, 배당주식형 펀드는 0.23%, K200인덱스 펀드는 1.34%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 국내 주식형 펀드 주간 성과 상위 TOP5 펀드명 순자산액 소유형 수익률 1주일 1개월 연초후 한화PLUS한화그룹주상장지수(주식) 301 기타인덱스 22.44 39.67 58.94 한화PLUSK방산상장지수(주식) 3,454 기타인덱스 18.58 37.33 50.70 미래에셋TIGER우주방산상장지수(주식) 338 기타인덱스 14.85 27.54 33.90 신한SOLK방산상장지수[주식] 276 기타인덱스 13.80 29.40 43.12 미래에셋TIGER조선TOP10상장지수(주식) 2,160 기타인덱스 13.34 21.09 30.92](http://img.funddoctor.co.kr/contents/img_manager/etc_10485_국내2.PNG)
단기물 소폭 하락했지만, 장기물은 소폭 상승
한 주간 국내 채권금리는 혼조세를 보였다.
국내 채권금리는 단기물 중심으로 소폭 하락하였다. 미국 CPI가 예상치를 상회하면서 미국채 10년물 금리가 4.6%를 상회하며 국내 시장은 약세를 보였지만, 이후 원달러 환율 하락과 함께 저가매수세가 유입되면서 단기구간 중심으로 강세를 보였다. 장기물의 경우에는 기대인플레 상승 등 물가 경계감에 소폭 상승하였다.
만기별 금리를 살펴보면 국고채 1년물 금리는 지난주보다 2.80bp 하락한 2.660%, 3년물 금리는 2.00bp 하락한 2.625%, 5년물 금리는 0.50bp 상승한 2.727%, 10년물 금리는 3.20bp 상승한 2.872%로 마감했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www.Funddoctor.co.kr)이 2월 14일 오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내 채권형 펀드는 한 주간 -0.03% 수익률을 기록하였다.

한 주간 채권형 펀드의 일반채권 펀드는 -0.08%, 초단기채권 펀드는 0.06%, 중기채권 펀드는 -0.21%, 우량채권 펀드는 -0.39%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 국내 채권형 펀드 주간 성과 상위 TOP5 펀드명 순자산액 소유형 수익률 1주일 1개월 연초후 교보악사내일환매초단기우량채[채권]ClassS-P 8 초단기채권 0.10 0.33 0.61 유진챔피언단기채자(채권) Class A 1,839 초단기채권 0.09 0.34 0.56 삼성코리아초단기우량채권자 1[채권]_Ci 943 초단기채권 0.09 0.32 0.63 칸서스튼튼단기채 1(채권)ClassA 39 초단기채권 0.08 0.39 0.62 현대으뜸단기채 1[채권]종류C-W 98 일반채권 0.08 0.33 0.48](http://img.funddoctor.co.kr/contents/img_manager/etc_10487_국내4.PNG)
■ 국내 자금 동향
2월 14일 현재 KG제로인 유형별 펀드자금 동향을 조사한 결과, 국내공모 펀드 설정액은 한 주간 1조 7,071억원 상승한 313조 9,766억원으로 나타났다. 순자산액은 2조 9,640억원 증가한 334조 2,249억원을 기록했다.
주식형펀드의 설정액은 1,099억원 감소한 17조 9,746억원으로 집계되었고, 순자산액은 2,144억원 증가한 21조 1,773억원으로 나타났다. 채권형 펀드의 설정액은 8,624억원 증가한 36조 7,068억원으로 집계되었고, 순자산액은 8,827억원 증가한 38조 4,629억원으로 나타났다.
부동산형 펀드의 설정액은 지난주와 비슷한 8,750억원으로 집계되었고, MMF 펀드의 설정액은 6,974억원 증가한 156조 9,357억원으로 집계됐다.

한 주간 코스피는 상승세를 보였다.
KOSPI는 조선 및 제약과 바이오 업종을 중심으로 상승하였다. 한화오션은 정부의 조선 산업 지원 소식에 강세를 보였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실적 호조 및 한화오션 지분 취득 결정의 영향으로 강세를 보였다.
KOSDAQ은 삼성전자의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에 유리기판 관련주의 강세가 이어지며 상승하였다.
해당 기간 코스피 지수는 1.83%의 상승세를, 코스닥 지수는 1.21%의 상승세를 보였다. 업종별로는 운수 장비업(7.19%), 건설업(4.42%), 제조업(3.51%)이 강세를 보였고 음식료품업(-2.38%), 보험업(-3.35%), 전기 가스업(-3.70%)업은 약세를 보였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www.Funddoctor.co.kr)이 2월 14일 오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내 주식형 펀드는 한 주간 1.73% 상승했다.
한 주간 주식형 펀드의 일반주식형 펀드는 2.02%, 중소형주식형 1.33%, 배당주식형 펀드는 0.23%, K200인덱스 펀드는 1.34%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단기물 소폭 하락했지만, 장기물은 소폭 상승
한 주간 국내 채권금리는 혼조세를 보였다.
국내 채권금리는 단기물 중심으로 소폭 하락하였다. 미국 CPI가 예상치를 상회하면서 미국채 10년물 금리가 4.6%를 상회하며 국내 시장은 약세를 보였지만, 이후 원달러 환율 하락과 함께 저가매수세가 유입되면서 단기구간 중심으로 강세를 보였다. 장기물의 경우에는 기대인플레 상승 등 물가 경계감에 소폭 상승하였다.
만기별 금리를 살펴보면 국고채 1년물 금리는 지난주보다 2.80bp 하락한 2.660%, 3년물 금리는 2.00bp 하락한 2.625%, 5년물 금리는 0.50bp 상승한 2.727%, 10년물 금리는 3.20bp 상승한 2.872%로 마감했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www.Funddoctor.co.kr)이 2월 14일 오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내 채권형 펀드는 한 주간 -0.03% 수익률을 기록하였다.
한 주간 채권형 펀드의 일반채권 펀드는 -0.08%, 초단기채권 펀드는 0.06%, 중기채권 펀드는 -0.21%, 우량채권 펀드는 -0.39%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 국내 자금 동향
2월 14일 현재 KG제로인 유형별 펀드자금 동향을 조사한 결과, 국내공모 펀드 설정액은 한 주간 1조 7,071억원 상승한 313조 9,766억원으로 나타났다. 순자산액은 2조 9,640억원 증가한 334조 2,249억원을 기록했다.
주식형펀드의 설정액은 1,099억원 감소한 17조 9,746억원으로 집계되었고, 순자산액은 2,144억원 증가한 21조 1,773억원으로 나타났다. 채권형 펀드의 설정액은 8,624억원 증가한 36조 7,068억원으로 집계되었고, 순자산액은 8,827억원 증가한 38조 4,629억원으로 나타났다.
부동산형 펀드의 설정액은 지난주와 비슷한 8,750억원으로 집계되었고, MMF 펀드의 설정액은 6,974억원 증가한 156조 9,357억원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