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7 국내] 미국 물가 상승 둔화에 우리 증시 상승세
- 작성일 : 2023-11-17 14:40:26
- 조회수 : 3010
미국 물가 상승 둔화에 우리 증시 상승세
한 주간 우리 증시는 상승하였다.
KOSPI는 미국 10월 CPI가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긴축 종료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하였다. 2차 전지와 관련하여 테슬라의 사이버트럭 재판매 금지 및 자동차 관세 축소 정책 등의 호재가 나오면서 2차 전지 관련주들이 다시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KOSDAQ 역시 테슬라 호재에 따라 2차 전지 관련주가 상승을 주도하였다.
해당 기간 코스피 지수는 2.52%의 상승세를, 코스닥 지수는 1.03%의 상승세를 보였다. 업종별로는 운수 장비업(4.91%), 의료 정밀업(4.18%), 전기 전자업(3.41%)이 강세를 보였으며, 음식료품업(-0.49%), 운수 창고업(-0.80%), 섬유 의복업(-1.33%)은 약세를 보였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www.Funddoctor.co.kr)이 11월 17일 오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내 주식형 펀드는 한 주간 2.49% 상승했다.
![■ 국내 유형별 평균 수익률 및 순자산액 대유형 소유형 펀드수 순자산액 수익률 1주일 1개월 1년 연초후 주식형 3,738 650,086 2.49 2.20 6.51 17.09 일반주식 1,883 111,032 2.16 2.18 5.24 13.63 중소형주식 369 11,241 0.76 0.69 10.75 14.55 배당주식 297 30,350 1.97 2.54 7.14 12.00 K200인덱스 385 193,071 2.76 3.29 6.04 15.50 주식혼합형 일반주식혼합 333 27,783 1.40 1.27 5.67 9.40 채권혼합형 일반채권혼합 994 71,030 1.04 1.53 5.54 6.96 절대수익추구형 채권알파 371 10,574 0.32 0.52 5.04 4.85 시장중립 110 1,506 0.51 1.07 5.91 5.01 공모주하이일드 148 8,967 0.21 0.50 6.28 6.30](http://img.funddoctor.co.kr/contents/img_manager/etc_9951_국내1.PNG)
한 주간 주식형 펀드의 일반주식형 펀드는 2.16%, 중소형주식형 0.76%, 배당주식형 펀드는 1.97%, K200인덱스 펀드는 2.76%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 국내 주식형 펀드 주간 성과 상위 TOP5 펀드명 순자산액 소유형 수익률 1주일 1개월 연초후 미래에셋TIGER200IT레버리지상장지수(주식-파생) 307 기타인덱스 6.78 5.52 39.80 KBKBSTARFn5G테크상장지수(주식) 1,028 기타인덱스 6.43 4.88 33.65 한화2.2배레버리지인덱스(주식-파생재간접)종류A 257 기타인덱스 5.31 5.92 27.43 미래에셋TIGER레버리지상장지수[주식-파생] 473 기타인덱스 5.12 5.93 27.41 삼성KODEX자동차상장지수[주식] 6,302 기타인덱스 5.08 2.06 21.43](http://img.funddoctor.co.kr/contents/img_manager/etc_9952_국내2.PNG)
CPI 예상치 하회에 국고채 금리 급락
한 주간 국내 채권금리는 하락세를 보였다.
국내 채권금리는 미국 10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예상치를 하회하며 미국채 금리가 큰 폭으로 하락한 것에 영향을 받아 급락하였다. 인플레이션 둔화로 인하여 미국 연준이 금리를 더 이상 올리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며 기관의 매수세가 지속적으로 유입되었다.
만기별 금리를 살펴보면 국고채 1년물 금리는 3.20bp 하락한 3.755%, 3년물 금리는 15.70bp 하락한 3.697%, 5년물 금리는 17.40bp 하락한 3.718%, 10년물 금리는 17.00bp 하락한 3.790%로 마감했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www.Funddoctor.co.kr)이 11월 17일 오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내 채권형 펀드는 한 주간 0.38%의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하였다.
![■ 국내 채권형 유형 평균 수익률 및 순자산액 대유형 소유형 펀드수 순자산액 수익률 1주일 1개월 1년 연초후 채권형 1,106 534,208 0.38 1.27 5.32 4.13 일반채권 473 118,207 0.49 1.61 5.81 4.46 초단기채권 202 281,163 0.08 0.33 4.06 3.48 중기채권 227 105,238 0.85 2.61 6.22 4.33 우량채권 204 29,601 1.10 4.22 5.22 3.63 KAP채권지수(1년종합) 0.10 0.34 4.54 3.74 MMF MMF 321 1,340,972 0.07 0.32 3.73 3.24](http://img.funddoctor.co.kr/contents/img_manager/etc_9953_국내3.PNG)
한 주간 채권형 펀드의 일반채권 펀드는 0.49%, 초단기채권 펀드는 0.08%, 중기채권 펀드는 0.85%, 우량채권 펀드는 1.10%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 국내 채권형 펀드 주간 성과 상위 TOP5 펀드명 순자산액 소유형 수익률 1주일 1개월 연초후 KBKBSTAR국채30년레버리지KAP상장지수(채권-파생)(합성) 103 일반채권 3.90 20.18 0.00 미래에셋TIGER국고채30년스트립액티브상장지수(채권) 1,756 일반채권 2.83 16.52 0.00 KBKBSTARKIS국고채30년Enhanced상장지수(채권) 3,977 우량채권 2.43 13.10 3.73 키움KOSEF10년국고채레버리지상장지수(채권-파생) 144 중기채권 2.22 6.65 1.77 삼성KODEX국고채30년액티브상장지수[채권] 2,842 우량채권 2.08 10.06 5.14](http://img.funddoctor.co.kr/contents/img_manager/etc_9954_국내4.PNG)
■ 국내 자금 동향
11월 17일 현재 KG제로인 유형별 펀드자금 동향을 조사한 결과, 국내공모 펀드 설정액은 한 주간 7,593억원 증가한 279조 4,411억원으로 나타났다. 순자산액은 1조 8,876억원 증가한 299조 523억원을 기록했다.
주식형펀드의 설정액은 462억원 감소한 20조 6,739억원으로 집계되었고, 순자산액은 4,829억원 증가한 23조 6,945억원으로 나타났다. 채권형 펀드의 설정액은 846억원 증가한 19조 9,540억원으로 집계되었고, 순자산액은 1,801억원 증가한 20조 3,339억원으로 나타났다.
부동산형 펀드의 설정액은 지난주보다 4억원 감소한 9,377억원으로 집계되었고, MMF 펀드의 설정액은 817억원 증가한 159조 2,385억원으로 집계됐다.
한 주간 우리 증시는 상승하였다.
KOSPI는 미국 10월 CPI가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긴축 종료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하였다. 2차 전지와 관련하여 테슬라의 사이버트럭 재판매 금지 및 자동차 관세 축소 정책 등의 호재가 나오면서 2차 전지 관련주들이 다시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KOSDAQ 역시 테슬라 호재에 따라 2차 전지 관련주가 상승을 주도하였다.
해당 기간 코스피 지수는 2.52%의 상승세를, 코스닥 지수는 1.03%의 상승세를 보였다. 업종별로는 운수 장비업(4.91%), 의료 정밀업(4.18%), 전기 전자업(3.41%)이 강세를 보였으며, 음식료품업(-0.49%), 운수 창고업(-0.80%), 섬유 의복업(-1.33%)은 약세를 보였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www.Funddoctor.co.kr)이 11월 17일 오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내 주식형 펀드는 한 주간 2.49% 상승했다.
한 주간 주식형 펀드의 일반주식형 펀드는 2.16%, 중소형주식형 0.76%, 배당주식형 펀드는 1.97%, K200인덱스 펀드는 2.76%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CPI 예상치 하회에 국고채 금리 급락
한 주간 국내 채권금리는 하락세를 보였다.
국내 채권금리는 미국 10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예상치를 하회하며 미국채 금리가 큰 폭으로 하락한 것에 영향을 받아 급락하였다. 인플레이션 둔화로 인하여 미국 연준이 금리를 더 이상 올리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며 기관의 매수세가 지속적으로 유입되었다.
만기별 금리를 살펴보면 국고채 1년물 금리는 3.20bp 하락한 3.755%, 3년물 금리는 15.70bp 하락한 3.697%, 5년물 금리는 17.40bp 하락한 3.718%, 10년물 금리는 17.00bp 하락한 3.790%로 마감했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www.Funddoctor.co.kr)이 11월 17일 오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내 채권형 펀드는 한 주간 0.38%의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하였다.
한 주간 채권형 펀드의 일반채권 펀드는 0.49%, 초단기채권 펀드는 0.08%, 중기채권 펀드는 0.85%, 우량채권 펀드는 1.10%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 국내 자금 동향
11월 17일 현재 KG제로인 유형별 펀드자금 동향을 조사한 결과, 국내공모 펀드 설정액은 한 주간 7,593억원 증가한 279조 4,411억원으로 나타났다. 순자산액은 1조 8,876억원 증가한 299조 523억원을 기록했다.
주식형펀드의 설정액은 462억원 감소한 20조 6,739억원으로 집계되었고, 순자산액은 4,829억원 증가한 23조 6,945억원으로 나타났다. 채권형 펀드의 설정액은 846억원 증가한 19조 9,540억원으로 집계되었고, 순자산액은 1,801억원 증가한 20조 3,339억원으로 나타났다.
부동산형 펀드의 설정액은 지난주보다 4억원 감소한 9,377억원으로 집계되었고, MMF 펀드의 설정액은 817억원 증가한 159조 2,385억원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