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d Doctor

menu

[7/29 국내] 외국인, 기관 저가매수세 유입에 국내 증시 상승세

외국인, 기관 저가매수세 유입에 국내 증시 상승세

한 주간 국내 주식시장은 상승세를 보였다.
KOSPI는 원-달러 환율이 1200원 대 후반에서 1300원 대 초반을 유지하는 모습을 보임과 더불어 외국인과 기관의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하였다.
KOSDAQ은 코로나 재확산으로 인한 학원 원격 수업 권고에 온라인 교육, 제약 바이오 업종이 상승을 주도하였다.

해당 기간 코스피 지수는 1.08%의 상승세를, 코스닥 지수는 0.40%의 상승세를 보였다. 업종별로는 비금속 광물제품업(8.87%), 섬유 의복업(3.04%), 의약품업(3.03%)이 상승세를 보였으며, 서비스업(-0.71%), 운수 창고업(-0.89%), 의료 정밀업(-3.97%)는 하락세를 보였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www.Funddoctor.co.kr)이 7월 29일 오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내 주식형 펀드는 한 주간 0.95% 상승했다.


■ 국내 유형별 평균 수익률 및 순자산액 대유형	소유형	 펀드수 	순자산액		수익률			 					1주일	1개월	1년	연초후 주식형		 3,732 	612,143		0.95 	0.90 	-22.74 	-19.34  	일반주식	 1,827 	110,192		1.10 	0.44 	-20.99 	-19.13  	중소형주식	 358 	11,509		1.36 	0.05 	-19.78 	-20.64  	배당주식	 310 	31,246		0.96 	0.48 	-15.73 	-12.41  	K200인덱스	 376 	165,001		0.63 	1.12 	-23.23 	-17.71  주식혼합형	일반주식혼합	 318 	31,020		0.53 	1.30 	-11.96 	-12.38  채권혼합형	일반채권혼합	 1,006 	78,688		0.62 	0.95 	-8.91 	-7.90  절대수익추구형	채권알파	 401 	20,313		0.27 	0.17 	-0.74 	-1.29  	시장중립	 106 	1,584		0.23 	0.65 	-1.18 	-4.04  	공모주하이일드	 134 	16,313		0.17 	-0.03 	0.68 	-1.59

한 주간 주식형 펀드의 일반주식형 펀드는 1.10%, 중소형주식형 1.36%, 배당주식형 펀드는 0.96%, K200인덱스 펀드는 0.63%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 국내 주식형 펀드 주간 성과 상위 TOP5 펀드명	순자산액	소유형	수익률		 			1주일	1개월	연초후 삼성KODEXK-신재생에너지액티브상장지수[주식]	 738 	기타인덱스	7.73 	-1.70 	-11.53  한화ARIRANGiSelect우주항공&UAM상장지수(주식)	 112 	기타인덱스	7.54 	5.09 	0.00  미래에셋TIGERFn신재생에너지상장지수(주식)	 242 	기타인덱스	6.58 	-3.52 	-6.40  미래에셋TIGERKRX2차전지K-뉴딜레버리지상장지수(주식-파생)	 139 	기타인덱스	6.41 	-5.69 	-36.20  KBKBSTARFn수소경제테마상장지수(주식)	 2,829 	기타인덱스	5.84 	3.79 	-12.19


ECB 빅스텝과 경제 지표 악화로 국채 금리 하락

한 주간 국내 채권금리는 하락세를 기록했다.
국내 채권금리는 ECB의 빅스텝과 유럽과 미국의 구매관리자 지수 하락으로 경기 침체 우려가 높아지면서 하락하였다. 중국의 코로나 확산 역시 국채 금리 하락에 영향을 주었다.

만기별 금리를 살펴보면 국고채 1년물 금리는 0.90bp 하락한 2.940%, 3년물 금리는 8.30bp 하락한 3.125%, 5년물 금리는 11.00bp 하락한 3.180%, 10년물 금리는 10.10bp 하락한 3.200%로 마감했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www.Funddoctor.co.kr)이 7월 29일 오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내 채권형 펀드는 한 주간 0.38%의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하였다.


■ 국내 채권형 유형 평균 수익률 및 순자산액 대유형	소유형	 펀드수 	순자산액	수익률			 				1주일	1개월	1년	연초후 채권형		 1,042 	291,879	0.38 	1.05 	-1.62 	-1.42  	일반채권	 459 	117,300	0.27 	0.72 	-0.79 	-0.86  	초단기채권	 180 	82,470	0.06 	0.12 	0.68 	0.43  	중기채권	 248 	77,096	0.81 	2.45 	-5.04 	-3.89  	우량채권	 155 	15,013	0.70 	2.19 	-4.63 	-3.61  KAP채권지수(1년종합)				0.07 	0.07 	0.76 	0.41  MMF	MMF	 315 	1,135,904	0.04 	0.17 	1.26 	0.89


한 주간 채권형 펀드의 일반채권 펀드는 0.27%, 초단기채권 펀드는 0.06%, 중기채권 펀드는 0.81%, 우량채권 펀드는 0.70%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 국내 채권형 펀드 주간 성과 상위 TOP5 펀드명	순자산액	소유형	수익률		 			1주일	1개월	연초후 KBKBSTARKIS국고채30년Enhanced상장지수(채권)	 1,229 	우량채권	2.80 	11.45 	-18.19  삼성액티브종합채권플러스[채권]_Cf	 4,842 	일반채권	1.47 	4.41 	0.00  키움KOSEF10년국고채상장지수[채권]	 4,275 	중기채권	1.46 	4.25 	-6.11  한화ARIRANG국채선물10년상장지수(채권-파생)	 127 	중기채권	1.44 	4.36 	-6.56  삼성KODEX10년국채선물상장지수[채권-파생]	 341 	중기채권	1.43 	4.35 	-6.32


■ 국내 자금 동향

7월 29일 현재 KG제로인 유형별 펀드자금 동향을 조사한 결과, 국내공모 펀드 설정액은 한 주간 5,379억원 증가한 230조 5,203억원으로 나타났다. 순자산액은 1조 2,304억원 증가한 242조 5,976억원을 기록했다.

주식형펀드의 설정액은 492억원 증가한 21조 3,195억원으로 집계되었고, 순자산액은 2,721억원 증가한 23조 4,256억원으로 나타났다. 채권형 펀드의 설정액은 419억원 증가한 20조 2,297억원으로 집계되었고, 순자산액은 1,172억원 증가한 20조 357억원으로 나타났다.

부동산형 펀드의 설정액은 지난주보다 2억원 감소한 1조 2,390억원으로 집계되었고, MMF 펀드의 설정액은 4,717억원 증가한 130조 1,685억원으로 집계됐다.


■ 국내 공모 펀드 유형별 자금 추이 펀드유형	펀드수	설정액			순자산액		 		'22.07.22	'22.07.29	증감	'22.07.22	'22.07.29	증감 주식형	3,529 	212,703 	213,195 	492 	231,535 	234,256 	2,721      주식형 ETF	306 	296,555 	296,156 	-399 	384,397 	386,197 	1,800  주식혼합형	465 	39,308 	39,299 	-9 	39,261 	39,463 	202  채권혼합형	1,305 	86,156 	86,192 	36 	89,482 	90,030 	548  채권형	1,048 	201,878 	202,297 	419 	199,185 	200,357 	1,172      채권형 ETF	43 	98,758 	98,901 	142 	100,327 	100,841 	514  절대수익추구형	667 	36,981 	36,498 	-484 	40,606 	40,176 	-430  부동산형	54 	12,392 	12,390 	-2 	7,616 	7,619 	4  MMF	330 	1,296,968 	1,301,685 	4,717 	1,306,369 	1,311,654 	5,285  기타	172 	18,125 	18,591 	466 	14,894 	15,383 	489  국내 소계	7,919 	2,299,824 	2,305,203 	5,379 	2,413,672 	2,425,976 	12,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