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9 국내] 외국인, 기관 저가매수세 유입에 국내 증시 상승세
- 작성일 : 2022-07-29 14:44:04
- 조회수 : 4804
외국인, 기관 저가매수세 유입에 국내 증시 상승세
한 주간 국내 주식시장은 상승세를 보였다.
KOSPI는 원-달러 환율이 1200원 대 후반에서 1300원 대 초반을 유지하는 모습을 보임과 더불어 외국인과 기관의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하였다.
KOSDAQ은 코로나 재확산으로 인한 학원 원격 수업 권고에 온라인 교육, 제약 바이오 업종이 상승을 주도하였다.
해당 기간 코스피 지수는 1.08%의 상승세를, 코스닥 지수는 0.40%의 상승세를 보였다. 업종별로는 비금속 광물제품업(8.87%), 섬유 의복업(3.04%), 의약품업(3.03%)이 상승세를 보였으며, 서비스업(-0.71%), 운수 창고업(-0.89%), 의료 정밀업(-3.97%)는 하락세를 보였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www.Funddoctor.co.kr)이 7월 29일 오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내 주식형 펀드는 한 주간 0.95% 상승했다.

한 주간 주식형 펀드의 일반주식형 펀드는 1.10%, 중소형주식형 1.36%, 배당주식형 펀드는 0.96%, K200인덱스 펀드는 0.63%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 국내 주식형 펀드 주간 성과 상위 TOP5 펀드명 순자산액 소유형 수익률 1주일 1개월 연초후 삼성KODEXK-신재생에너지액티브상장지수[주식] 738 기타인덱스 7.73 -1.70 -11.53 한화ARIRANGiSelect우주항공&UAM상장지수(주식) 112 기타인덱스 7.54 5.09 0.00 미래에셋TIGERFn신재생에너지상장지수(주식) 242 기타인덱스 6.58 -3.52 -6.40 미래에셋TIGERKRX2차전지K-뉴딜레버리지상장지수(주식-파생) 139 기타인덱스 6.41 -5.69 -36.20 KBKBSTARFn수소경제테마상장지수(주식) 2,829 기타인덱스 5.84 3.79 -12.19](http://img.funddoctor.co.kr/contents/img_manager/etc_9396_국내2.PNG)
ECB 빅스텝과 경제 지표 악화로 국채 금리 하락
한 주간 국내 채권금리는 하락세를 기록했다.
국내 채권금리는 ECB의 빅스텝과 유럽과 미국의 구매관리자 지수 하락으로 경기 침체 우려가 높아지면서 하락하였다. 중국의 코로나 확산 역시 국채 금리 하락에 영향을 주었다.
만기별 금리를 살펴보면 국고채 1년물 금리는 0.90bp 하락한 2.940%, 3년물 금리는 8.30bp 하락한 3.125%, 5년물 금리는 11.00bp 하락한 3.180%, 10년물 금리는 10.10bp 하락한 3.200%로 마감했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www.Funddoctor.co.kr)이 7월 29일 오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내 채권형 펀드는 한 주간 0.38%의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하였다.

한 주간 채권형 펀드의 일반채권 펀드는 0.27%, 초단기채권 펀드는 0.06%, 중기채권 펀드는 0.81%, 우량채권 펀드는 0.70%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 국내 채권형 펀드 주간 성과 상위 TOP5 펀드명 순자산액 소유형 수익률 1주일 1개월 연초후 KBKBSTARKIS국고채30년Enhanced상장지수(채권) 1,229 우량채권 2.80 11.45 -18.19 삼성액티브종합채권플러스[채권]_Cf 4,842 일반채권 1.47 4.41 0.00 키움KOSEF10년국고채상장지수[채권] 4,275 중기채권 1.46 4.25 -6.11 한화ARIRANG국채선물10년상장지수(채권-파생) 127 중기채권 1.44 4.36 -6.56 삼성KODEX10년국채선물상장지수[채권-파생] 341 중기채권 1.43 4.35 -6.32](http://img.funddoctor.co.kr/contents/img_manager/etc_9398_국내4.PNG)
■ 국내 자금 동향
7월 29일 현재 KG제로인 유형별 펀드자금 동향을 조사한 결과, 국내공모 펀드 설정액은 한 주간 5,379억원 증가한 230조 5,203억원으로 나타났다. 순자산액은 1조 2,304억원 증가한 242조 5,976억원을 기록했다.
주식형펀드의 설정액은 492억원 증가한 21조 3,195억원으로 집계되었고, 순자산액은 2,721억원 증가한 23조 4,256억원으로 나타났다. 채권형 펀드의 설정액은 419억원 증가한 20조 2,297억원으로 집계되었고, 순자산액은 1,172억원 증가한 20조 357억원으로 나타났다.
부동산형 펀드의 설정액은 지난주보다 2억원 감소한 1조 2,390억원으로 집계되었고, MMF 펀드의 설정액은 4,717억원 증가한 130조 1,685억원으로 집계됐다.
한 주간 국내 주식시장은 상승세를 보였다.
KOSPI는 원-달러 환율이 1200원 대 후반에서 1300원 대 초반을 유지하는 모습을 보임과 더불어 외국인과 기관의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하였다.
KOSDAQ은 코로나 재확산으로 인한 학원 원격 수업 권고에 온라인 교육, 제약 바이오 업종이 상승을 주도하였다.
해당 기간 코스피 지수는 1.08%의 상승세를, 코스닥 지수는 0.40%의 상승세를 보였다. 업종별로는 비금속 광물제품업(8.87%), 섬유 의복업(3.04%), 의약품업(3.03%)이 상승세를 보였으며, 서비스업(-0.71%), 운수 창고업(-0.89%), 의료 정밀업(-3.97%)는 하락세를 보였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www.Funddoctor.co.kr)이 7월 29일 오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내 주식형 펀드는 한 주간 0.95% 상승했다.
한 주간 주식형 펀드의 일반주식형 펀드는 1.10%, 중소형주식형 1.36%, 배당주식형 펀드는 0.96%, K200인덱스 펀드는 0.63%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ECB 빅스텝과 경제 지표 악화로 국채 금리 하락
한 주간 국내 채권금리는 하락세를 기록했다.
국내 채권금리는 ECB의 빅스텝과 유럽과 미국의 구매관리자 지수 하락으로 경기 침체 우려가 높아지면서 하락하였다. 중국의 코로나 확산 역시 국채 금리 하락에 영향을 주었다.
만기별 금리를 살펴보면 국고채 1년물 금리는 0.90bp 하락한 2.940%, 3년물 금리는 8.30bp 하락한 3.125%, 5년물 금리는 11.00bp 하락한 3.180%, 10년물 금리는 10.10bp 하락한 3.200%로 마감했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www.Funddoctor.co.kr)이 7월 29일 오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내 채권형 펀드는 한 주간 0.38%의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하였다.
한 주간 채권형 펀드의 일반채권 펀드는 0.27%, 초단기채권 펀드는 0.06%, 중기채권 펀드는 0.81%, 우량채권 펀드는 0.70%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 국내 자금 동향
7월 29일 현재 KG제로인 유형별 펀드자금 동향을 조사한 결과, 국내공모 펀드 설정액은 한 주간 5,379억원 증가한 230조 5,203억원으로 나타났다. 순자산액은 1조 2,304억원 증가한 242조 5,976억원을 기록했다.
주식형펀드의 설정액은 492억원 증가한 21조 3,195억원으로 집계되었고, 순자산액은 2,721억원 증가한 23조 4,256억원으로 나타났다. 채권형 펀드의 설정액은 419억원 증가한 20조 2,297억원으로 집계되었고, 순자산액은 1,172억원 증가한 20조 357억원으로 나타났다.
부동산형 펀드의 설정액은 지난주보다 2억원 감소한 1조 2,390억원으로 집계되었고, MMF 펀드의 설정액은 4,717억원 증가한 130조 1,685억원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