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티브펀드(Active Fund)에 관하여
- 작성일 : 2000-08-16 11:13:18
- 조회수 : 11877
저는 경제학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입니다. 펀드보다는 주식에 관심이 많은 편입니다.
금융사이트를 서핑하다보면 펀드를 설명하면서 액티브라는 단어를 자주 사용하던데
자세한 설명해주세요. 인덱스펀드에 대해서는 대충 감이 오는데 액티브펀드에
대해서는 이해가 될 듯 말듯합니다. 부탁드립니다.
사이트가 새롭게 개편된 것 같군요. 심플하고 조은 것 같네요.
그럼 안녕히...
강 지훈씨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간접투자의 매력 특히 수익증권이나 뮤추얼 펀드의 매력은 운용 전문가의 능력을 개인 투자가가 활용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주식에 주로 투자하는 펀드 가운데에서도 주식시장에 연동하는 것을 목표로 한 「인덱스 펀드 : Index fund」와 운용자가 독자적인 조사 분석을 하고 유망 종목을 선택하고 주식시장 전체의 움직임을 상회한 운용 성과를 목표로 한 「액티브 펀드 : Active fund」로 구별될 수 있습니다.
액티브펀드는 운용회사의 조직이나 펀드매니저의 능력이 펀드의 성과에 많이 좌우됩니다. 종목의 선택에 있어서도 운용자마다 스타일은 다양합니다.
상품소개 시 ' 보유자산의 최대 90%까지 운영할 수 있는 액티브운용 펀드로, 엄격한 Risk관리로 안정된 고수익률을 목표로 합니다 ' 라는 문구를 보신 적이 계신가요 ? 보통 액티브운용 펀드라는 표현은 투신사나 운용사들이 성장형펀드를 소개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인덱스펀드가 종합주가지수를 기준수익률로 정하고 동일한 수익률을 얻고자 하는 펀드라고 한다면 액티브펀드는 기준수익률 이상의 수익을 기대하고 만들어진 펀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받아들여 질 수 있는 위험수준 하에서 최대의 수익을 얻고자 하는 것이 액티브펀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액티브펀드의 투자관리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됩니다.
투자를 예상하고 있는 회사를 몇 회에 걸쳐 방문하고, 프로의 눈으로 성장력이 높은 기업을 엄선하는 상향식(바튼 업: bottom up)방법, 기업의 재무 데이터에 근거한 분석에 의해 기업의 실제 가치와 현재의 주가를 비교하여 주가가 낮은 기업을 선정하는 하향식(탑 다운 : top down)방법이 있습니다.
운용자의 능력과 운용방침의 차이를 반영하여 액티브 펀드의 운용성과도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습니다.
1년간 종합주가지수가 -26.66% 하락(7월29일 기준)하는 동안, 80.98% 수익을 올리고 있는 펀드도 있는 반면 44.73% 손실을 내고 있는 펀드도 있습니다.
액티브 펀드가 '프로의 노하우를 필요로 한다' 는 의미에서는 매력적인 상품이지만 투자가에게는 우수한 운용사와 펀드매니저를 선별할 수 있는 노력이 요구됩니다.
펀드닥터의 답변이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질문 부탁드립니다.
- 이전글 : 주식시장에서 뮤추얼펀드 매입문의
- 다음글 : 스폿펀드(Spot Fund)는 만기가 없는 건가..